전체 글

개발 좋아하는 PM 입니다.
참고 포스트너무 잘 정리하고 좋은 포스팅이 있어 아카이빙 한다.3가지만 있으면 플랫폼이 만들어진다?!플랫폼 모델링 공부 목적플랫폼이 명확히 무엇인지, 플랫폼이 만들어 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파악위와 같은 내용을 공부하면, 000이 잘될 수 있었던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라 판단성공한 플랫폼이란?‘교차 네트워크’가 원활하게 워킹하는 구조가 되어 있는 서비스교차네트워크란?경제학에서 말하는 ‘외부성효과’와 동일한 맥락외부성효과는 한 개인의 어떤 특정한 행동이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플랫폼의 조건양면시장 : 상호연결을 필요로 하는 둘 이상의 구분되는 고객그룹간의 거래(Transaction)를 중재교차보조도구 : 교차 네트워크 효과를 발생하게 하는 핵심 트리거가격전략 : 높은 거래비용으로 양측의..
노션은 업데이트를 너무 조용히 하니, My Tasks 기능이 원래 있던 건지 새로 생긴건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난 오늘 발견했다.회사에서 Asana를 사용하고 있는 나의 입장으로 매우 반가운 소식이였다. (Asana의 My Tasks 기능을 강력하기로 유명하다.) 한번 사용해 보자Notion 워크스페이스 생성프로젝트 + 스프린트 탬플릿으로 세팅했는데 생각보다 아주 잘되어 있다.구성도 좋고,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가 관계형으로 아주 잘 연결 되어 있다. 매우 좋다데이터베이스를 “작업 데이터 베이스”로 전환템플릿이 만들어준 작업 데이터베이스에서 ﹒﹒﹒을 클릭“작업 데이터베이스로 전환” 클릭My Tasks에 연결 할 데이터 선택연결한 데이터들이 My Tasks 리스트에 칼럼으로 연결워크스페이스에 “Home”으로..
올바른 문제 해결하기요약PM은 0-to-1 제품을 제작할때 어떤 기술을 적용할지, 어떤 기능을 갖출지 고민하는 것이 먼저가 아닌 올바른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을 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상향식 접근 방법으로 제품개발을 시작해야 한다.먼저 동기부여가 되는 시장을 찾는 것이다. 다시말해 시장의 페인 포인트를 찾아 이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제품 기회의 최적의 지점은 사용자가 아주 중요한 문제에 대한 기존 해결책에 불만을 느낄때 생긴다.이러한 시장을 찾을때 좋은 방법은 다음과 같다.소리높혀 불평을 갖는 사람을 찾는것불편함을 감수하면서 무언가를 하려고 하는 사람 찾기위와같은 시장은 틈새시장이나 이부분을 노리는 이유는 독점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부분은 성장에 동력을 ..
[2일차]7가지 코드-제품 설계 1장분량 : 19~36pPM의 두가지 구분요약1978년 애플은 혁명적인 애플2를 내놓으며, 든든한 캐시카우 제품을 얻었다. 이후 잡스는 애플3, 최초의 매킨토시(MAC)를 이어서 내놓았지만 실패로 마무리 되어 잡스는 1985년 해고를 당했다. 이랬던 잡스는 아이폰 발명에 기여하게 된다.제작 vs 확장 (개발 vs 확장이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제품을 설계하는 입장으로 0-to-1(제작)과 1-to-N(확장)에 따른 전략을 잘 세울 수 있어야 한다.0-to-1 제품은 제품 시장의 적합성(Product marker fit)을 추구해야 하고, 시장을 분석하며 검증해야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단계에서는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Hockey stick growth)는 필요가 없다...
개요지금 어머니가 일하고 계신 해성그래픽이란 회사는 홈페이지도 없는 작은 회사지만, 영업이나 미팅에서 간단한 회사 소개와 회사에서 만들고 있는 아트웍들을 소개할 홈페이지가 필요했다.만약 새로운 거래처에서 문의가 들어오면 홈페이지 주소 하나만 보내 주면 대응 할 수 있는 그림을 그리고 있다.DDEVI 란?AI Website & Landing pages in 10 seconds | Free 100 years hosting | No drag & drop - just a clickWix 같이 노코드로 홈페이지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플랫폼이다.근데, 무료로 제공해 주는 서비스가 어마어마하다. 아래 정리한다.특장점무료 제공 범위위에서도 말했지만 무료로 하나의 홈페이지를 만드는 것에 크게 걸림돌이 없다.💡 ..
정의 1. VPN(Virtual Private Network) - 번역하면 가상 사설 네트워크 - 보통 웹에선 SSL VPN을 통해 사용자가 VPN을 통해 먼저 접속 하게 하고 암호화를 거친뒤 서버로 접속 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2. VPC(Virtual Private Cloud) - 번역하면 가상 사설 클라우드 - AWS의 EC2(클라우드 컴퓨터)는 각각의 리전(Region)을 갖고 이러한 떨어져있는 EC2들을 묶어 연결해주는 것을 VPC라고 한다. 3. VPS(Virtual Private Server) - 번역하면 가상 사설 서버 - VPC와 비슷하게 보이겠으나, 차이는 클라우드 컴퓨터가 아닌 실제 컴퓨터를 하나의 가상 서버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용도 및 특징 1. VPN - 서버를 접근하는 네..
Hong-Kyu
PM의 기획 개발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