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MVP와 RAT에 대해

반응형

용어정리

  • MVP : 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 RAT : Riskiest Assumption Test, 가장 위험한 가정 테스트

MVP란

  • 제품의 핵심 가치를 시장에 빠르게 전달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구성된 제품의 기본 버전

MVP를 구현 하기 위한 고려사항

  • 접근 방법 : 제품의 핵심 기능과 가치 제안은 무엇인가?
  • 목표 : 실제 제품에서 초기 고객의 리얼한 피드백 기반으로 반복 진행하는 ‘프로세스’
  • 타겟 : 초기 고객(얼리어답터)
  • 구현 : 가장 중요한 기능을 포함한 실제 제품의 첫 번째 버전

MVP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이유

  • 비용 및 시간 절약
  • 잘못된 개발 방향에 대한 리스크 감소

MVP 3대 구성

  1. 최소-M
  2. 실행가능-V
  3. 경쟁력-C
MVP를 완료하기 위해 더욱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RAT를 먼저 진행 하는 것
MVP는 너무 다양한 볼륨이 존재하기에 이를 보안할 RAT가 필요

RAT란?

  • 제품에 대한 가장 최악의 가정(가장 위험한 가정)을 하여 그 케이스를 테스트하는 것
  • 이 가정을 테스트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실험을 진행 하는 것
  • 가장 리스크가 크고 확신성이 없을때 시작하는 RAT

MVP를 완성하기 위한 RAT의 역할

  • 제품이 실패할 경우의 수를 줄임
  • 비용 및 시간 절감

RAT 하는 방법

  • 제품의 주요 기능을 정리하고 이 항목들에 대한 테스트
  • 개발하는 과정에서의 리스크에 대한 테스트
  • 가장 크리티컬하게 적용될 리스크를 선별
  • ex) 설문조사, 인터뷰, 세부 분석, 단순한 렌딩페이지, 현장 조사 등
반응형